전체 글
-
[B.D.A x 영진닷컴] ADsP 넷째주 스터디ADsP스터디 2024. 4. 21. 06:58
4주차(2024.04.16 ~ 2024.04.22) p.15 ~ p.54 [PART 01] chapter 01 데이터의 이해, chapter 02 데이터의 가치와 미래 스터디 느낀점 : 간단한 개념들이라 이해하기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몇 부분 암기하는 것을 제외하면 다회독으로 충분히 이해하고 넘어갈 수 있는 범위였습니다. 스터디 내용:CHAPTER 01 데이터의 이해01. 데이터와 정보1) 데이터(Data) : 데이터는 객관적인 사실(fact)로서 추론, 전망, 추정, 예측을 하기 위한 근거(basis)로서 사용되는 특성을 지니며, 다른 객체와의 상호 관계를 바탕으로 가지를 갖게 된다. - 데이터는 정성적 데이터(qualitative data)와 정량적 데이터(quantitative data)유형으로 구..
-
07. 인간의 성적이상행동범죄와범죄심리 2024. 4. 18. 14:47
인간은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남성의 대표적인 성욕과 여성의 대표적인 성욕을 대해 이해를 하고 성적 욕구 과정에서의 이상 심리와 성도착과 범죄와의 연관성에 대해 살펴보자. 먼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는 현대인에게 성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고 여성과 남성의 성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다음은 성욕통제와 성범죄 순으로 살펴볼 것이다. - 성욕과 성심리 1) 현대인의 성 2) 여성과 남성의 성 3) 성욕통제와 성범죄 - 현대인의 성 SEX는 Secare라고 하는 나누다, 분리하다라는 의미의 단어를 어원으로 한다. 이는 적어도 성은 기본적으로 '상대가 존재해야 한다'라는 의미가 된다. 성 활동에 있어서 상대가 없는 형태는 자위행위라한다면 성장과정을 통해 '상대가 있고',..
-
06. 충동통제장애범죄와범죄심리 2024. 4. 18. 13:15
우리 스스로 자신을 통제하기 못하면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라고 쉽게 예상할 수 있다. 그렇다면 충동이라는 것은 과연 무엇인가? 충동통제장애에는 어떤 것이 있고 그 내용은 어떠한 것인가? 충동통제장애와 연관되어 있는 범죄 행동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1. 충동의 개념과 원인 - 충동의 개념 충동성이라는 것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사고나 행동이 대단히 단순하고 감정적이어서 남으로부터 간섭, 속박을 받거나 제약을 받기 싫어하는 특질이 보통 사람보다 과도한 것으로 본인이 결정을 내릴 때 판단을 하거나 행동을 하는 것이 순간적인 기분에 좌우되는 면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개인이 가지고 있는 침착함과 어떤 자극이 왔을 때 반응하는 자제력 결여되어 있다는 것이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단순하고 즉흥적..
-
05. 이상심리와 범죄범죄와범죄심리 2024. 4. 16. 17:27
우선 정상심리와 이상심리에 있어서 정상심리와 이상심리를 구분하고, 정상성과 이상성이 어떻게 다를지, 또 범죄에서의 정상심리와 이상심리, DSM-IV의 다축적 진단체계에 대해 살펴보자 - 정상심리와 이상심리 이상행동은 abnormal한 것, 즉 normal에 대비되는 것으로 행동주의 심리학 영역에서 만들어진 용어이다. 그래서 이상심리학은 임상심리학의 하위 영역으로서 이상심리에 의한, 그것으로 인해 발생되는 정신장애와 이상 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이 두가지(정상심리와 이상심리)는 과연 본인 자신에 대한 현실 인식, 파악이 가능한가? 자신의 능력과 심리 상태를 바르게 자각하고 있는가? 스스로 자신의 행동 조절이나 통제가 가능한가? 과장 또는 과소 없이 있는 그대로 자신을 수용할 수 있는가로 구분할..
-
[B.D.A x 영진닷컴] ADsP 셋째주 스터디ADsP스터디 2024. 4. 11. 17:16
3주차(2024.04.09 ~ 2024.04.15) p.66 ~ p.113 [PART 02] chapter 01 데이터 분석 기획의 이해, chapter 02 분석 마스터 프랜 스터디 느낀점 : 이 전 주차에 비하여 단순 암기인 개념의 내용이 많은 주였기에 주요 내용을 확인하고 축약하는 과정이 더욱 중요했던 거 같다. 스터디 내용: CHAPTER 01 데이터 분석 기획의 이해 01. 분석 기획 방향성 도출 1) 분석 기획 : 실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기 전에 분석을 수행할 과제의 정의 및 의도했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이를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사전에 계획하는 일련의 작업으로, 어떤 목표(what)를 달성하기 위해 어떤 데이터를 가지고 어떤 방식(how)으로 수행할지에 대한 일련의 계획을 ..
-
SQL문법기초(5주차)_데이터모델링카테고리 없음 2024. 4. 9. 23:52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과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작업을 지원하는 다양한 데이터 모델이 존재하는데, 사용하는 데이터 모델에 따라 현실 세계를 표현하는 개념적 구조나 논리적 구조의 모습이 달라진다. 개념적 데이터 모델 중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이 개체-관계 모델이고 논리적 데이터 모델로는 관계 데이터 모델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개체-관계 모델은 개체와 개체 간의 관계를 이용해 현실 세계를 개념적 구조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현실 세계를 개체-관계 모델을 이용해 개념적으로 모델링하여 그림으로 표현한 것을 개체-관계 다이어그램 또는 E-R 다이어그램이라고 한다. 개체(Entity)는 현실 세계에서 조직을 운영하는데 꼭 필요한 사람이나 사물같이 구별되는 모든 것을 말한다. 즉, 개체는 저장할 만한 가치가 있는 중..
-
SQL문법기초(4주차)_데이터언어, 데이터모델링카테고리 없음 2024. 4. 9. 22:51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중요 요소 중 하나는 사용자이다.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기 위해 접근하는 모든 사람을 의미하며 이용 목적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최종 사용자, 응용 프로그래머로 나눌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운영, 관리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의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다. - 데이터 베이스 구성 요소 선정 : 데이터 베이스를 새롭게 설계하는 경우, GA4 바뀌면서 데이터베이스 자체가 새롭게 추가해야 하는 경우, 어떤 개발 영역으로 인해 API호출 시 데이터를 적재하는 곳이 생기거나,, 다른 기업들과 서로 협업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경우 요구 사항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데이터를 결정한다.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정의 : 데이터 타입..
-
SQL문법기초(3주차)_데이터베이스시스템카테고리 없음 2024. 4. 9. 22:03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이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라는 데이터 생태계 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보다 더 큰 개념이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하여 조직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해주는 시스템으로 다양한 목적의 정보 처리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핵심 요소이다. - 데이터베이스 : 저장된 데이터의 집합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가 일관되고 무결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관리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이용해 조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전체 시스템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 구조와 제약조건을 정의한 것으로 위의 그림에서는 회원과 관련된 데이터인 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