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01. 범죄 행동과 심리
    범죄와범죄심리 2024. 3. 19. 16:15

    인간의 행동은 그 행동의 원인이 되는 심리가 존재하고

    심리는 결국 사고 과정에 의해 만들어지고, 뇌의 지시로 인해 행동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세상엔 수 많은 범죄가 있다.

    우리가 매일 뉴스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범죄들, 그 범죄들은 어떤 메커니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일까?

     

    범죄에는 공식이 범죄자는 그들의 내면의 세계가 존재한다.

    통상 우리들이 듣는 범죄자들의 주장은 우발적이다, 심신 미약이었다.등의 상투적인 이야기들이다.

    이제부터 이런 범죄자들의 내면세계 즉, 범죄 행동과 심리학에 대한 이야기들을 공부해 볼 예정이다.

     

    - 현대 사회의 범죄 양상 :어떤 식으로 전제가 되는가

    자기 억제력 상실

    마인드 컨트롤 실패

    악마성의 분출

    인격 장애자, 성격 파탄자

     

    우리가 인간과 인간이 부딪히면 살아가는 이 사회에서 자신 안의 분노를 어떻게 컨트롤할 것인가가 매우 중요하다.

    범죄성이라는 것은 누구의 마음속에든 존재하는 것이지만 중요한 것은 자극 상황에 처해있더라도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이다.

     

    - 현대 사회에서 범죄 양상

    연쇄 살인

    첨단 범죄

    성폭행

    아동 유괴/살인

    사이버테러

    패륜범죄

     

    범죄 이전에 발생될 수 있는 '일탈'은 어떤 것일까?

    일탈은 어떤 유형이 행동이 한 특정 시대, 특정 사회의 규범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지역 사회내에서 부정적으로 평가되는 규범, 규칙 위반을 하는 행위로 범죄와 비행을 모두 포함하는 행위라고 말할 수 있다.

     

    범죄는 어떤 것일까?

    crime은 라틴어의 Crimen에서 파생된 것으로 죄를 짓는 행위를 말한다.

    범죄는 상황과 상관없는 절대적인 개념이 아니다.

    범죄는 시대와 장소에 따라 양적으로, 질적으로 끊이없이 변화해 나가고 있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그 예로 미국(1930년대)과 아랍의 금주법, 우리나라의 간통죄 등이 이에 속한다.

     

    범죄에 대한 정의는 범죄에 대한 연구, 다수 의견으로서의 시각, 갈등적 시각에서의 범죄, 상호작용적 시각에서의 범죄 측면에서 모두 살펴볼 수 있다.

    즉 범죄에 대한 연구 측면에서는 범죄를 법적으로 정의가 된 것에 국한할 것인지, 법에 규정이 되어 있지 않더라도 반사회적 행위를 모두 포함할 것인지에 대해 생각하고

    다수 의견으로서 범죄란 다수 시민의 도덕과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현존 형법에 의해 정의된 불법 행위로, 갈등적 시각에서 범죄란 경제적으로 힘이 있는 개인들이 사회를 통제하기 위해 만든 개념으로, 상호작용적 시각에서는 범죄는 상대적이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개념이며 범죄자는 사회가 비행 또는 낙인적 행동을 하는 자로 규정하는 측면에서 바라보고 있다.

     

    시대와 상황에 따라서 변화하는 범죄에 있어서 크게 세가지 개념을 제시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과범죄화, 신범죄화, 비범죄화로 구분하는 것으로

    과범죄화는 가정과 사회공동체 같은 비공식적인 통제기구가 약화되어서 가정의 역할을 법으로 제정해 규율하는 것이다.

    그 예로 교통위반범죄, 경범죄가 속한다.

    신범죄화는 새롭게 범죄 개념이 탄생했다는 것으로 사회 구조가 변화함에 따라 그전에는 예상하지 못했던 행위에 형법이 관여하게 되는 것이다.

    환경, 경제, 사이버 범죄가 새롭게 신범죄화되었다.

    비범죄화는 이전에는 범죄로 낙인 찍혀 왔던 행위가 더 이상 범죄가 아니게 되는 것을 말한다.

    혼인빙자간음죄, 간통죄가 이에 속하지만 민사적인 책임까지 완전히 면제되는 것은 아니다.

     

     

     

     

     

     

    '범죄와범죄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충동통제장애  (0) 2024.04.18
    05. 이상심리와 범죄  (0) 2024.04.16
    04. 인간의 욕구와 공격성  (0) 2024.04.04
    03. 인간의 욕구와 공격성  (0) 2024.04.04
    02. 인간의 소질과 범죄원인  (0) 2024.04.04
Designed by Tistory.